- SONO 복부-여성생식기 검사
- PAP (자궁경부세포진) 검사
- CELL (자궁경부액상세포) 검사
- CG (자궁확대경촬영술) 검사
- HPV (인유두종바이러스) 검사
- STD 1종 (분비물배양) 검사
- BMD (골밀도) 검사
- 임신반응 검사 U-HCG (소변)
- 임신전 혈액검사
- AMH (난소나이측정) 검사
- 비타민D 검사
- 호르몬 혈액 검사
- 난소암 혈액 검사
- 임신반응 검사 B-hcg
- 수술전 검사
AMH 검사(항뮬러호르몬 검사, Anti-Müllerian Hormone) 는 여성의 난소 기능과 난소 예비력(난소 나이) 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혈액검사입니다.
임신 계획이 있는 여성, 난임을 걱정하는 여성, 폐경 시기 예측이 필요한 경우 등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임신 계획이 있는 여성, 난임을 걱정하는 여성, 폐경 시기 예측이 필요한 경우 등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AMH란?
- AMH(항뮬러호르몬) 는 여성의 난소 속 미성숙 난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입니다.
- 난소에 남아 있는 난포의 수(=난소 예비력)를 반영 → 수치가 높을수록 난소 기능이 좋음
검사 목적
- 난소 나이(난소 예비력) 측정
- 임신 가능성 평가 (특히 난임 부부에게 필수)
- 시험관 시술(IVF) 시 과배란 반응 예측
- 조기 폐경 가능성 확인
- 다낭성 난소증후군(PCOS) 감별에도 활용
검사 방법
- 간단한 혈액 검사
- 생리 주기와 관계없이 언제든지 검사 가능
- 금식 불필요, 채혈만으로 측정 가능
AMH 수치 해석
AMH 수치 (ng/mL)
해석
난소 상태
4.0 이상
매우 높음
다낭성난소 가능성 (PCOS 포함)
2.0 ~ 4.0
양호
정상적인 난소 예비력
1.0 ~ 2.0
경계
다소 감소, 난임 가능성 상승
0.5 ~ 1.0
낮음
난소 기능 저하, 조기폐경 우려
0.5 이
매우 낮음
폐경 이행기 가능성, 임신 매우 어려움
※ 검사 기준치는 검사기관과 나이에 따라 차이가 있음
※ 단, 수치가 높다고 무조건 임신 잘 되는 것은 아님 → 난자의 "질"은 나이 영향
연령별 평균 AMH 추이 (대략적 참고값)
연령
평균 AMH 수치 (ng/mL)
25세
약 4.5
30세
약 3.5
35세
약 2.5
40세
약 1.5
45세
약 0.5
주의사항
- 피임약, 호르몬 치료 중인 경우 수치 해석에 영향 가능 → 의사와 상담 필요
- AMH는 난자의 '수량'만 반영 , 난자의 '질'은 나이, 건강상태 등이 더 영향
- 난소 기능 저하가 의심되면, FSH, LH, 에스트로겐, 초음파 검사 등 병행 추천
검사 비용
- 건강보험 비급여 항목
- 병원마다 상이하나 보통 3만~10만 원 내외
- 난임클리닉 또는 산부인과에서 시행 가능
검사 권장 대상
- 임신 계획 중인 30~40대 여성
- 생리 불규칙, 생리량 감소
- 난임 치료 전 상태 점검
- 조기폐경 가족력 있는 경우
Colposcopy 결과 분류 (Bethesda System과 연계)
소견
의미
정상
이상 없음
저등급 병변 (LSIL)
HPV 감염, 초기 변화 가능
고등급 병변 (HSIL)
암 전 단계 가능성 있음
침윤성 병변
자궁경부암 가능성 있음